드라마 ‘미생’을 여름휴가때 마다 본지가 몇해 되었다. 이번이 세번째 어쩌면 네번째. 25시간 내외가 걸리는 전체 20편을 연달아 모두 보려면 상당한 체력과 집중력이 요구되는 중노동이다. 물론 한방에 끝내기는 불가능하다. 며칠 걸리는데, 그 기간동안에는 일체의 일상적 활동이 중단되며, 그나마 최소한의 활동은 드라마를 더 잘 보는데 집중된다. 예를들면 음식준비나 식사시간을 최소화 하면서 중간 중간에 운동을 한다 🙂
신심 깊은 기독교신자가 휴가기간에 성경을 완독하거나, 열성 불교도가 경전들을 필사하는 것에 견줄만한, 우리 내외에게는 일종의 연례 행사라 하겠다. 내게는, 어떤 유명한 경전들보다도 훨씬 더 내 삶에 관련이 있는, 내게 와닿고 실용적이며 현실적인 지혜를 얻는 매우 유익하고 즐거운 시간이다. 삼매경에 빠진다. 그리고 이번에 새롭게 깨닫게 된것은, 해를 거듭하여 보면 볼수록 동일한 드라마에 대하여 그 중요성을 느끼는 장면들과 또 강하게 와닿는 내용들이 (배우는 바가) 다르다는 것이다.
방금 ‘삼매’라는 말을 사용했는데, 이 삼매의 의미가 아마 황농문박사께서 가르치고 있는 ‘몰입’과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할 것이라 생각이 된다. 그리고 드라마 미생에서도 ‘샤를 보들레르’의 시를 인용하여, 한 결정적인 장면에 바로 이 ‘삼매’ 혹은 ‘몰입’을 (삶에 대한, 일상에 대한, 일에 대한) 멋지게 표현하고 있다. 시 전문을 아래에 실었다. 읽어보기 전에, 미생에서 이 시가 등장하는 장면은, 그야말로 가장 치열하고 처절하게 바로 오늘을 지금 이순간을 사는 그런 상황을 묘사한 장면이라는 것을 밝혀둔다. 직접 이 장면을 보고나서 읽으면 더욱 좋지만 아니라도 그만.
항상 취해있어야 한다.
모든게 거기에 있다.
그것이 유일한 문제다.
당신의 어깨를 무너지게 하여 당신을 땅속으로 꼬부라지게하는 가증스런 시간의 무게를 느끼지 않기 위해서 당신은 쉴세없이 취해있어야 한다.
그러나 무었에 취한다? 술이든 시든 미덕이든 그 어느것이든 당신 마음대로다 그러나 어쨋던 취해라.
그리고 때때로 궁궐의 계단위에서 도랑가의 초록색 풀위에서 혹은 당신방의 음울한 고독가운데서 당신은 깨어나게 되고, 취기가 감소되거나 사라져버리거든 물어보아라.
바람이든 물결이든 별이든 새든 시계든 지나가는 모든 것, 슬퍼하는 모든 것, 달려가는 모든 것, 노래하는 모든 것, 말하는 모든 것에게 지금이 몇시인가를.
그러면 바람도 물결도 별도 새도 시계도 당신에게 대답하리라,
‘지금은 취할 시간이다. 시간의 학대를 받는 노예가 되지 않기 위하여, 끊임없이 취하라. 술이든 시든 미덕이든 그 어떤것이든 당신 마음대로.’
(샤를 보들레르)
일부 번역에서는 마지막 문장이 생략된 경우를 보았다. 드라마 미생에서 사용된 번역도 마지막 문장이 ‘지금은 취할 시간이다’에서 끝이 났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번 휴가기간에 미생을 보면서 깨달은 것은 ‘오늘에 몰입해서 그 취함속에서 그 삼매경에 빠져서 살던지, 아니면 내일에 몰입해서 오늘 취하지 못하고 삼매에 빠지지 못하며 엉거주춤하게 살던지 둘중 하나지, 둘다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이다. 세상에서 우리가 주고 받는 거래도 어쩌면 이런 불문율 속에서 대부분 이루어진다는 느낌이 많이 들었다. 미생의 오과장처럼 혹은 장그레처럼 뜨겁게 살면 그 하루 하루는 행복하겠지만 길게 보아서 소위 출세를 하긴 어렵고, 반대로 잔머리 굴리며 라인타고 줄서는데 정신빠져서 살면 어쩌면 장차 출세는 할수 있을지 모르지만 그 다음에 뒤돌아 보면 텅빈 그야말로 아무것도 남지 않는 인생을 살게되지 싶다는 말이다. ‘출세해서 돈이 남고 지위가 남지 않는가?’ 당신이 이렇게 말한다면 내가 굳이 아니라고는 하지 않겠다. 하지만 회사를 떠나면? 밖에도 삶이 있고, 당신도 가족들도 밖에서 오래오래 살아야 한다. 이것 지위나 돈보다 어쩌면 훨씬 더 심각한 이야기일 수도 있다. 어떤 사람들에게는, 당신은 빼고 🙂
Est-ce que tu parles français? 나는 불어를 못하니 실제로 샤를 보들레르가 드라마 미생에서 인용된 바로 그 의미로 이 시를 썼던가 직접 그리고 확실히 알아볼 수는 없다. 하지만 한국어와 영어로 된 자료를 몇가지 보니 이 요절한 시인이 그야말로 술과 여자 마약 기타등등에 쩔어서 살다가 일찍 가버린 사람, 하지만 문학적으로는 그의 시들이 가치를 인정받는, 그런 상황인듯 하더라. 드라마 미생 만든 사람들이 적절하게 인용해서 나 같은 사람까지도 소름이 쫙 돋게 만들었지만, 어쩌면 ‘표본실에서 해부한 청개구리에서 김이 모락모락’이었던가 싶기도 하다.
그리고 삼매에 대해서도 조금 아는체를 하자면, 이글에서 내가 말했던 Samatha 혹은 Samadhi를 (영어로는 calm meditation 혹은 concentration meditation) 중국인들이 한자로 옮긴것이 바로 ‘삼매(三昧)’인데, 붓다께서는 물론이고 내가 이전에 몇차례 언급했었던 티라다모 스님께서도 ‘그것으로 해탈 열반을 증득할수 없다’고 말씀하셨다. 일부 사람들이 그야말로 ‘삼매 삼매경’에 빠져 (혹은 ‘명상 삼매경’에 빠져) 숨쉬는 느낌이건, 공학연구건, 무역프로젝트건간에 완전히 몰입하고 그것에 빠지는 것이 마치 삶의 궁극적인 해결책이양, 혹은 삶의 최고 최상의 경지인양 말하는 듯하지만 (명상이나 몰입이 훌륭하고 유용한 수단이라는 것에는 동의하면서도) 다시 말하건데, 붓다께서도 그리고 바로 이 삼매와 몰입을 평생 밥먹듯이 해오신 티라다모 스님께서도, 그 자체가 궁극적인 해결책이 아니며 인간이 다다를수 있는 최고 최상의 경지도 아니라고 하셨다. 그럼 뭐?
어제 저녁을 먹으면서 우연히 바로 이 이야기가 나왔는데 내가 말했다 ‘흡사 운동화 끈을 효과적이고 아름답게 잘 매는 연습을 밤낮으로 오래하여 그것에 도사가 됨과 같다. 하지만 아무리 운동화 끈을 잘 매고 아름답게 매도 오직 그것만으로는 마라톤을 완주할 수 없다.’ 아내는 조용히 식사 계속 🙂
‘그럼 뭐?’에 대한 대답들을, 내가 듣고 보고 배운데로 블로그에 써왔는데 올해도 계속할 작정이다. 당신이 못찾으면 내 블로그가 개판이요, 찾아서 읽고나서도 무슨말인지 모르겠으면 내가 확실히 몰라서 그렇다. 둘다 차차 나아지기를 희망한다. 새해복 많이 받으시라.